전체 글 54

제 4장 결과를 전달하는 HTTP 상태 코드

상태코드는 서버로부터 리퀘스트 결과를 전달한다. 클라이언트가 서버를 향해 리퀘스트를 보낼 때 서버에서 그 결과가 어떻게 되었는지 알려주는 것이 상태 코드의 역할이다. 클래스 설명 1xx Informational 리퀘스트를 받아들여 처리중 2xx Success 리퀘스트를 정상적으로 처리했음 3xx Redirection 리퀘스트를 완료하기 위해서 추가 동작이 필요 4xx Client Error 서버는 리퀘스트 이해 불가능 5xx Server Error 서버는 리퀘스트 처리 실패 대표적인 14개의 상태코드 2xx 성공(Success) 200 OK : 클라이언트가 보낸 리퀘스트를 서버가 정상 처리하였음을 나타낸다. 204 No Content : 이 리스폰스는 서버가 리퀘스트를 받아서 처리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리..

CS/Network 2023.04.06

제 3장 HTTP 정보는 HTTP 메세지에 있다.

HTTP 메세지 : HTTP에서 교환하는 정보 리퀘스트 측 HTTP메세지를 리퀘스트 메세지, 리스폰스 측 HTTP 메세지를 리스폰스 메세지라고 부른다. HTTP 메세지는 복수행의 데이터로 구성된 텍스트 문자열이다. 크게 구분하며 메세지 헤더, 메세지 바디로 구성되어 있고, 개행 문자(CR+LF)로 메세지 헤더와 바디를 구분한다. 더보기 HTTP 메세지 구조 [메세지 헤더]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꼭 처리해야 하는 리퀘스트와 리스폰스 내용과 속성 등 [CR+LF] CR(carriage return : 16진수 0x0d)와 LF(line feed : 16진수 0x0a) [메세지 바디] 꼭 전송되는 데이터 그 자체 리퀘스트 메세지의 구조 리스폰스 메세지의 구조 [ 메세지 헤더 ] 리퀘스트 라인 리퀘스트 헤더 필드..

CS/Network 2023.03.27

제 1장 웹과 네트워크의 기본

서버에 의뢰를 하는 웹 브라우저 등을 클라이언트(Client)라고 부른다. 클라이언트에서 서버까지 일련의 흐름을 결정하고 있는 것은 웹에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이라 불리는 프로토콜이다. 네트워크의 기본은 TCP/IP 컴퓨터와 네트워크 기기가 상호간에 통신하기 위해서는 서로 같은 방법으로 통신하지 않으면 안된다. 서로 다른 하드웨어와 운영체제 등을 가지고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모든 요소에 규칙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규칙을 프로토콜이라고 부른다. 이렇게 인터넷과 관련된 프로토콜을 모은 것을 TCP/IP라고 부른다. (프로토콜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케이블 규격, IP 주소 지정 방법, 웹을 표시하기 위한 순서 등) TCP/IP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계층(L..

CS/Network 20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