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의 약점 평문(암호화하지 않은) 통신이기 때문에 도청 가능 통신 상대를 확인하지 않기 때문에 위장 가능 완전성을 증명할 수 없기 때문에 변조 가능 평문이기 때문에 도청 가능 TCP/IP 구조의 통신 내용은 전부 통신 경로의 도중에 엿볼 수 있다. 암호화된 통신도, 암호화되지 않은 통신도 모두 엿볼 수 있다. 암호화된 통신은 메세지 속의 의미는 간파할 수 없어도 암호화된 메세지 자체는 엿볼 수 있다. 도청으로부터 정보를 지키기 위한 방법 중 가장 보급되어 있는 기술은 암호화이다. 1. 통신 암호화 - SSL, TLS라는 다른 프로토콜을 조합해서 HTTP의 통신 내용을 암호화 할 수 있다. - SSL 등을 통해 안전한 통신로를 확립하고 나서 그 통신로를 사용해 HTTP 통신을 한다. - SSL을 조합..